Quantcast
Channel: LVP의 お姉黨舍 - 설정변경 확정+진행중 84%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당 정치위원회의 잡담] 아녀. 하던짓 계속해ㅋ 外

$
0
0
[1]

[경향신문] 역풍 맞는 아베… 언론 비판 목소리


ㆍ자민당서도 “한·중관계 감안해 발언해야”

70%대가 넘는 지지율 속에 순항하던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역사도발과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문제로 거센 ‘역풍’에 휩싸였다.

일본 언론들은 연일 아베 정권을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고, 집권 자민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26일 사설에서 “아베 총리는 과거 전쟁에 대한 역사인식과 각료의 야스쿠니 참배를 둘러싸고 귀를 의심케 하는 발언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를 ‘그대로 계승하지는 않겠다’고 한 것에 대해 “침략에 대한 사죄는 무라야마 담화뿐 아니라 종전 60주년인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담화에도 포함돼 있다”고 지적한 뒤 “침략에 대한 역사인식을 그대로 계승하지 않겠다는 뜻인가”라고 추궁했다. 신문은 지난 23일에도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무신경한 처사”라고 비판한 바 있다.

아사히신문도 지난 24일 야스쿠니 문제를 지적한 데 이어 이날 사설에서도 “침략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반복하면 이웃국가뿐 아니라 구미 국가들의 불신도 강해지게 된다”고 비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날 사태 이후 처음 사설에서 “역사문제를 둘러싼 대립으로 한·일 정상회담은커녕 외교장관 회담의 전망조차 서지 않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자민당 가모시타 이치로(鴨下一郞) 국회대책위원장은 지난 25일 일본 민방과의 인터뷰에서 “(아베 총리가) 말하는 방식이나 중국·한국과의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발언했으면 한다”고 말했고, 자민당 중역은 최근 아베 총리의 강경발언과 관련해 “총리 주변에 말리는 이가 없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고 마이니치가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2006년 1차 내각 때 위안부의 실체를 부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비판을 샀고, 이후 정권의 힘이 급속히 빠지면서 1년 만에 실각한 바 있다. 2차 내각에서도 주변국에 대한 ‘역사도발’이 정권의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경향신문] 아베 “외교문제화 원치 않는다” 역사인식 비판 받자 한 발 후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6일 “역사인식에 관한 문제가 외교·정치문제화되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고 밝혔다. 과거 침략을 부정한 역사 관련 발언이 국내외에서 비판을 사자 사태수습을 위해 한 발 물러선 것이다.

교도통신과 NHK 등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중의원 내각위원회 답변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역사가와 전문가에게 맡기는 게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과거 많은 국가, 특히 아시아제국의 사람들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주었다는 인식에 아베 내각은 역대 내각과 같은 입장”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또 아카미네 세이켄(赤嶺政賢) 공산당 의원이 “일본의 과거 전쟁이 침략과는 다르다는 의미냐”고 묻자 “정치의 장에서 (역사인식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외교·정치문제로 발전한다”면서 “역사를 확정하는 것에 어려운 점도 있으며 나는 신처럼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베는 이어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근린제국은 일본의 중요한 파트너다. 이들 나라와의 관계 강화에 계속 노력하고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적극 공헌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그러나 “(침략의) 정의는 여러 관점에서 지금도 논의되고 있다”고 말해 침략의 정의는 정해지지 않았다는 앞서의 입장을 고수했다.




아냐. 하던짓 계속해.

누가 보면, 평소에 안그러다가 그러는 줄 알겠네ㅋ



그러고보니, 그동네에서 주권회복일인가 뭔가 하는날에 쨉스킹 불러다가 ㄷㄴㅎㅇㅋㅂㅈㅇ라고 우렁차게 소음공해 냈자지ㅋ?





[경향신문] 미, 외교루트 통해 일본 정부에 아베 발언 우려 뜻


ㆍ침략 부인·야스쿠니 참배 염두
ㆍ한·중·일 재무장관 회의 취소

미국 정부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역사인식 발언과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에 대한 우려를 외교 루트를 통해 일본 정부에 비공식적으로 전달했다고 교도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침략 역사를 부정하면서 동북아시아에서 외교갈등을 초래하고 있는 아베 정권에 미국이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아베 총리의 ‘역사도발’이 한국, 중국을 자극해 동북아 정세를 불안케 할 뿐 아니라 2차 세계대전 승전국 미국이 주도한 전후 질서를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미 국무부 당국자가 미국 주재 일본대사관을 통해 역사문제를 둘러싼 일련의 아베 정권 움직임이 주변국과의 관계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우려를 전달했다고 미·일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통신은 미국 정부의 이러한 우려 표명은 침략 정의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둘러싼 아베의 발언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도 25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아베 총리의 발언 등에 대한 우려의 뜻을 일본 측에 전달했음을 시사했다. 패트릭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의 기본적인 입장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밝혔듯이 (동북아) 역내 국가들이 대화를 통해 우호적인 방식으로 견해차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길 바란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과 한국 등 우려를 표시하는 나라들이 있다”고 지적한 뒤 “역내 국가들의 강력하고 건설적인 관계가 평화와 안정을 증진한다고 믿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촉구할 것”이라면서 “미국 주재 일본 대사관과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을 통해 일본 측과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과의 모든 외교적 대화를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겠다”면서 “그러나 매일 일본 측과 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베 총리의 발언과 일본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한국과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을 감안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이 미국에도 위협이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아베의 발언은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과 맞서 싸웠고, 전승국으로서 전후 질서를 주도해온 미국에 도전하는 듯한 태도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베가 앞서 지난 3월 일본 전범들을 처벌한 도쿄재판을 “승자의 판단에 의한 단죄”라고 한 언급이 이런 우려를 샀다.

한편 아베의 역사도발 여파로 내달 3일 인도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취소됐다. 의장국 중국은 “한·중·일 3국이 조정해야 할 의제가 없다”고 회의 취소를 일본 측에 통보했다. 아사히신문은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대립과 일본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때문에 회담이 보류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러게, 왜 미친새끼들은 살려둬서 여러사람 피곤하게 하시나?



행여나 자위대랑 한국군이 중국 견제용으로 합동훈련 해야하는데, 못한다고 징징대지 마시라. 이건 니들 책임도 있음ㅇㅇ






[경향신문] WP “왜 일본은 독일처럼 역사에 정직하지 못하나”


미국 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일본 정치권 등의 우경화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신문은 최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이른바 ‘침략 망언’과 관련, 27일자 사설을 통해 “최근 삐뚤어진 역사인식으로 자신이 이룬 모든 진전을 스스로 위험에 빠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해 집권한 뒤 많은 기대를 받았고 이후 경제와 국방 등의 분야에서 획기적인 조치를 내놓으며 부응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신문은 이어 아베 총리가 지난 23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사죄한 소위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 “침략에 대한 정의는 학계에서도, 국제적으로도 확실하지 않다”고 주장한 사례를 소개한 후, “한국과 중국 당국자들은 이에 격분하고 있고 이는 이해할만한 반응”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물론 역사는 늘 재해석되지만 사실(fact)은 있다”며 “일본은 한국을 점령했고, 만주와 중국을 점령했고, 말레이 반도를 침공했고, 침략을 저질렀다”고 꼬집었다. 신문은 특히 최근의 일본의 우경화를 독일의 예를 들며 강하게 비판했다. 신문은 “독일은 이미 수십 년 전에 역사를 정직하게 받아들이면서 유럽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는데 왜 일본의 일부 진영은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가”라고 반문했다.


[Washinton Post] Shinzo Abe’s inability to face history


By Editorial Board,April 26, 2013

FROM THE MOMENT last fall when Shinzo Abe reclaimed the office of Japanese prime minister that he had bungled away five years earlier, one question has stood out: Would he restrain his nationalist impulses — and especially his historical revisionism — to make progress for Japan?

Until this week, the answer to that question was looking positive. Mr. Abe has taken brave steps toward reforming Japan’s moribund economy. He defied powerful interest groups within his party, such as rice farmers, to join free-trade talks wi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Pacific nations that have the potential to spur growth in Japan. He spoke in measured terms of his justifiable desire to increase defense spending.

This week he seemed willing to put all the progress at risk. Asked in parliament whether he would reconsider an official apology that Japan issued in 1995 for its colonization of Korea in the past century, Mr. Abe replied: “The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aggression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academia o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ngs that happened between nations will look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side you view them from.”

Officials in South Korea and China responded with fury, and understandably so. Yes, history is always being reinterpreted. But there are such things as facts. Japan occupied Korea. It occupied Manchuria and then the rest of China. It invaded Malaya. It committed aggression. Why, decades after Germany solidified its place in Europe by facing history honestly, are facts so difficult for some in Japan to acknowledge?

We understand that South Korea and, to an even greater extent, China at times stoke anti-Japan sentiment for domestic political purposes. China distorts its own history and, unlike Japan, in many cases does not allow conflicting interpretations to be debated or studied. But none of that excuses the kind of self-destructive revisionism into which Mr. Abe lapsed this week.


An inability to face history will prejudice the more reasonable goals to which South Korea and China also object. Mr. Abe has valid reasons, given the defense spending and assertive behavior of China and North Korea, to favor modernization of Japan’s defense forces. He has good reason to question whether Japan’s “self-defense” constitution, imposed by U.S. occupiers after World War II, allows the nation to come to the aid of its allies in sufficient strength. But his ability to promote reform at home, where many voters remain skeptical, and to reassure suspicious neighbors plummets when he appears to entertain nostalgia for prewar empire.


디지털뉴스팀이라 못믿지만 혹시나 해서 워싱턴포스트를 뒤져보니

해당 기사가 있어서 그대로 가져옴.



그런 의미에서, 일본문화 쓰바라시랍시고 똥그라미에 줄 찍찍그은 거 가져오는 병신짓은 하지마시라.
야이씨발. 전통문화 드립치는 새끼들도 있던데, 그러면 갈고리십자장도 따지고보면 게르만애들이 고대때 쓰던 십자가임ㅇㅇ.






[경향신문] 반크, 전세계 교수에게 “야스쿠니 참배 부당” 편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참배의 부당성’을 알리는 편지를 전 세계 주요 대학의 교수들에게 발송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26일 “미국의 하버드대와 조지타운대, 영국의 옥스퍼드대 등 전 세계 대학에서 역사·국제학·외교학 등을 강의하는 교수 1000여명에게 일본 총리를 비롯한 각료, 국회의원 등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의 부당함을 알리고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을 국제우편으로 발송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우편물에는 영문으로 쓴 ‘야스쿠니 신사 참배 관련 성명서’,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언론사들이 최근 일본 정치인들의 신사 참배 강행을 비판하는 기사 스크랩, 일본 제국주의 부활의 가장 큰 피해자는 바로 일본인 자신이라는 점을 강조한 편지 등이 들어 있다.

박 단장은 “관련 학과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하도록 자료를 제시하는 동시에 직접 언론에 관련 내용을 기고하도록 보도자료 형태로 우편물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야스쿠니 신사에는 아시아를 전쟁의 공포에 몰아넣은 아시아·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비롯해 수많은 전범이 ‘신’으로 모셔져 있다. 반크는 영어 성명에서 “신사 참배 행위는 천황 숭배와 군국주의라는 부끄러운 과거를 용인하는 일일 뿐 아니라 아시아 평화와 공생을 볼모로 잡아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이루겠다는 명백한 정치적 오만이자 시대착오적 과오”라고 질타하면서 “이는 평화를 바라는 아시아인과 세계인에게 일본 제국주의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규탄했다.

반크는 우편물 발송과 함께 세계 주요 국가의 청원 사이트에 일본 제국주의의 부활을 경고하는 글을 게재하는 활동도 시작했다. 앞으로 동영상도 제작해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로 확산하는 ‘아시아 평화 글로벌 SNS 프로젝트’를 전개할 계획이다.



뭐, 취지에는 동의는 한다마는, 스팸메일질은 안좋은데..??

차라리 아예 저집 ㅄ들이 반박할 거리를 못주게,

다이제스트로 정리하고, 아카데믹한 걸 올리는 게 어떠한가?






[2]

[경향신문] 북, 개성공단 군사지역화 복귀 경고...완전 철수는 언급 없어


북한은 27일 정부의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귀환 결정에 “우리는 그동안 내주었던 개성공업지구의 넓은 지역을 군사지역으로 다시 차지하고 서울을 더 바투 겨눌 수 있게 되며 남진의 진격로가 활짝 열려 조국통일대전에 더 유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개성공단 담당 실무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의 대변인이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가진 문답에서 “우리는 괴뢰패당이 인원철수요 뭐요 하는데 대해서도 전혀 개의치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 2월 6일 내각 기관인 민족경제협력위원회의 대변인 담화를 통해 “우리(북한)는 6·15 정신의 견지에서 개성공업지구의 존속을 바라지만, 만일 그 누가 어떤 형태라도 개성공단을 조금이라도 건드린다면 우리에 대한 극악한 제재로 간주해 개성공단에 대한 모든 특혜를 철회하고 그 지역을 우리의 군사지역으로 다시 만드는 등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군사지역화 복귀 경고를 한 바 있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6·15의 옥동자로 태어난 개성공업지구를 소중히 여기지만 덕도 모르고 은혜를 원수로 갚는 자들에게 은총을 계속 베풀어줄 생각이 없다”며 “개성공업지구가 폐쇄되면 막대한 손해와 피해를 볼 것은 남측이며 우리는 밑져야 본전”이라고 했다.

대변인은 또 “개성공업지구 운명은 지금 경각에 이르렀다”며 “개성공업지구가 완전히 폐쇄되는 책임은 전적으로 괴뢰패당이 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은 개성공단의 완전 폐쇄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고 “청와대 안주인이 대결광신자들의 장단에 춤을 추면서 민족공동의 협력사업으로 유일하게 남은 개성공업지구마저 대결정책의 제물로 만들 심산이 아닌지 우리는 예리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 공장에 숨어있다가 잡히고… 북 관계자, 반찬 주며 “또 만나자”


ㆍ귀환 개성 직원들 표정

정부가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 방침을 발표한 다음날인 지난 27일 경기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중국인 노동자 1명을 포함해 입주 기업 관계자 127명이 남쪽으로 돌아왔다. 이날 개성공단에서 돌아온 이들은 “공장을 비워놓고 나오니 눈물이 날 것 같았다”며 사실상의 공단 폐쇄 상황에 대한 착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북측 관계자들은 일부 업체 직원들에게 반찬을 제공하고, 이들이 귀환할 때엔 아쉬워하며 ‘건강하라’ ‘다시 만나자’ 등의 덕담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성공단에 남아 있는 인원은 50명으로 개성공단관리위원회나 한국전력, 한국수자원공사 등 기반시설을 담당하는 직원들이다. 이들도 29일 전원 돌아와 개성공단이 생긴 지 10년 만에 우리 측 인원이 모두 철수하게 된다. 현재 개성공단 내 한국 업체들은 반찬은 없지만 라면을 비롯한 식량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 결정을 내린 이튿날인 27일 경기 파주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남측 직원들의 차량이 줄을 지어 들어오고 있다. | 서성일 기자




돌아온 이들은 생산된 물품을 최대한 차량으로 실어왔다. 차량 내부는 물론 지붕과 차량 앞부분에까지 생산품을 가득 실어온 모습도 보였다. 이들은 출입사무소 주차장과 통일대교 남단에 대기해 있던 차량에 생산품을 옮겨 실었다.

북한 당국은 개성공단 폐쇄에 대해 강경발언을 쏟아내고 있지만, 북측 관계자들은 남측 인원들의 귀환 과정에 상당히 협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는 “귀환하는 차량이 엄청난 과적을 했음에도 북측은 인도적 차원에서 배려를 해줬다는 말을 전해들었다”며 “다만 짐이 워낙 많다 보니 세관통과 때 조사 과정에서 시간이 늦어졌다”고 28일 말했다.

한 입주 기업 이사 이모씨는 “어제 한잠도 못 잤다. 공장을 비워놓고 나오니까 마음이 좀 아프다. 눈물이 솟구쳤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업 이사 구모씨는 “정부 방침이라 내려왔으나 공장 가동을 못하고 중지하는 바람에 굉장히 착잡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전날 밤까지 공장 시설에 봉인 작업을 하고 생산품 등 짐을 싸느라 초췌한 얼굴이었다.

몇몇 기업 관계자들은 귀환을 거부했다. 한 기업의 임원 장모씨는 “오전 10시까지도 20~30명이 내려오지 않겠다고 했는데 관리위원회에서 나가야 한다고 해 결국 내려왔다”고 말했다. 다른 기업 대표 정모씨도 “안 나오려고 (공단에) 숨어 있다가 잡힌 사람도 있다”며 “한 명은 안 나오고 거기서 목숨을 걸려고 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이날 출입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피해보전 대책과 30일 방북 허가 등의 요구사항을 밝혔다.

한재권 협회장은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정부의 갑작스러운 전원 귀환 결정에 매우 당혹스럽고 사실상 공단 폐쇄로 이어질 것을 우려한다”며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이뤄진 정부 결정이 유감스럽지만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거래처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유창근 협회 부회장은 “정부 발표 전 바이어(거래처)들도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있었고, 공단에 있는 원부자재는 가지고 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기다려줬다”며 “그러나 전원 철수하는 순간부터 바이어들의 손해배상 청구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돼지야. 니네 인민들 초코파이 뺏어먹고

엄한사람 사업들 말아먹으니까 맛있디?

니네집 사람들은 안그래도 굶는 사람인데, 초코파이라도 장마당에 돌려야지 이 ㅄ아.



이래서 돼지는 보이면 때려잡아 구워먹어야한다는 게 진리ㅇㅇ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