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SNS에 ‘막말’ 올린 당신, 입사 때 불이익 받을 수도 있습니다
ㆍ지원서에 SNS 주소 적게 한 기업 직접 확인… “당락에 다소 영향”
극우·폐륜 등으로 논란을 빚어온 인터넷 사이트 ‘일베’ 같은 곳에 함부로 글을 썼다가는 입사 때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기업 5곳 중 1곳은 채용과정에서 지원자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용을 참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사이트 인크루트가 22일 기업 인사담당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2.2%가 ‘입사지원서에 지원자의 SNS 주소를 적도록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생활모습이나 인맥, 사회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41%로 가장 많았고, ‘SNS 활용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라는 답은 36%였다. SNS 활동 내용과 역량 등이 채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지원자 SNS에서 중점적으로 보는 부분으로는 ‘평소 언행이나 가치관이 올바른지 여부’가 5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인관계(20.5%), 지원 직무에 대한 관심(17.8%)의 순이었다.
SNS 주소를 기재토록 하는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73%는 ‘직접 SNS를 확인한다’고 응답했다. SNS를 확인하는 시점에서는 56.2%가 ‘서류 및 필기 전형’에서 확인한다고 응답했다. ‘1~2차 면접’ 단계 확인은 39.7%, 최종면접 단계 확인은 4.1%였다.
당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SNS에서 부정적인 인상을 받으면 당락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인사담당자 57%가 ‘다소 그렇다’고 답변했다. ‘SNS에서 취업을 위해 노력한 점이 발견되면 인상이 좋아지느냐’는 질문에 62%가 ‘다소 그렇다’고 응답했다.
ㆍ지원서에 SNS 주소 적게 한 기업 직접 확인… “당락에 다소 영향”
극우·폐륜 등으로 논란을 빚어온 인터넷 사이트 ‘일베’ 같은 곳에 함부로 글을 썼다가는 입사 때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기업 5곳 중 1곳은 채용과정에서 지원자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용을 참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사이트 인크루트가 22일 기업 인사담당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2.2%가 ‘입사지원서에 지원자의 SNS 주소를 적도록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생활모습이나 인맥, 사회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41%로 가장 많았고, ‘SNS 활용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라는 답은 36%였다. SNS 활동 내용과 역량 등이 채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지원자 SNS에서 중점적으로 보는 부분으로는 ‘평소 언행이나 가치관이 올바른지 여부’가 5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인관계(20.5%), 지원 직무에 대한 관심(17.8%)의 순이었다.
SNS 주소를 기재토록 하는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73%는 ‘직접 SNS를 확인한다’고 응답했다. SNS를 확인하는 시점에서는 56.2%가 ‘서류 및 필기 전형’에서 확인한다고 응답했다. ‘1~2차 면접’ 단계 확인은 39.7%, 최종면접 단계 확인은 4.1%였다.
당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SNS에서 부정적인 인상을 받으면 당락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인사담당자 57%가 ‘다소 그렇다’고 답변했다. ‘SNS에서 취업을 위해 노력한 점이 발견되면 인상이 좋아지느냐’는 질문에 62%가 ‘다소 그렇다’고 응답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Clik here to view.

일베의 특징인 자랑질하다가 망하는거. 오프에서도 예외는 없는듯요ㅋ
그러게 조용히 블로깅질로 놀다가 가면되지, 괜히 무식을 자랑하면서 키보드 놀리다가 큰일납니다ㅇㅇ
tag : 일베, 인실좃, 그게_자랑스럽나ㅇㅇ?, 일베짓만_안하면_인생은_탄탄대로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