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정희 “민주주의 무너져…독재국가로 후퇴”
통합진보당은 19일 헌법재판소의 정당해산 결정에 대해 “박근혜 정권이 대한민국을 독재국가로 전락시켰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당이 사실상 공중분해되면서 체계적인 저항은 고사하고 향후 진로도 설정하기 쉽지않은 엄혹한 현실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정희 대표는 해산 결정 후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침통한 표정으로 “6월 민주항쟁의 산물인 헌법재판소가 허구와 상상을 동원한 판결로 스스로 전체주의의 빗장을 열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
이 대표는 특히 “오늘 저는 패배했고 역사의 후퇴를 막지 못한 저에게 책임을 물어달라”면서도 “그러나 저희 마음 속에 키워온 진보정치의 꿈까지 해산시킬 수는 없다”고 말해 지속적인 투쟁을 예고했다.
당 해산의 혼란스러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당원들을 추슬러 ‘정치세력’으로서 존속을 시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재야인사들이나 시민사회단체와의 결합을 꾀하며 생존의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우선 이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는 이날 오후 7시 서울광장에서 ‘박근혜 2년 못살겠다! 다 모여라!’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촛불집회에 참석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는 당원들을 중심으로 이번 해산판결을 비판하면서 다른 시민사회 단체들의 연대를 호소할 전망이다.
또 이제까지 통합진보당 해산에 반대해 온 사회 원로들을 계속 면담하면서 해산결정 반발 여론에 불을 지피려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을 비롯한 다른 정당에도 접촉을 시도하며 정치권에서의 이슈화를 이어가는 방안도 검토할 전망이다.
다만 당 안팎에서는 국고보조금까지 압류되고 자산이 동결조치된 상황에서 활동을 지속할 동력이 생길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당명을 다시 사용할 수 없고 기존 강령과 유사한 대체정당을 만들지 못하게 돼, 선관위에 등록하지 않은 대체조직으로는 활동을 이어나가기가 쉽지 않다는 전망도 있다.
통합진보당은 19일 헌법재판소의 정당해산 결정에 대해 “박근혜 정권이 대한민국을 독재국가로 전락시켰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당이 사실상 공중분해되면서 체계적인 저항은 고사하고 향후 진로도 설정하기 쉽지않은 엄혹한 현실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정희 대표는 해산 결정 후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침통한 표정으로 “6월 민주항쟁의 산물인 헌법재판소가 허구와 상상을 동원한 판결로 스스로 전체주의의 빗장을 열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밥재판소에서 진행된 통합진보당에 대한 정당해산심판에서 해산 판결이 나자 이정희 전 통진당 대표가 당원들을 위로하고 있다.|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이 대표는 특히 “오늘 저는 패배했고 역사의 후퇴를 막지 못한 저에게 책임을 물어달라”면서도 “그러나 저희 마음 속에 키워온 진보정치의 꿈까지 해산시킬 수는 없다”고 말해 지속적인 투쟁을 예고했다.
당 해산의 혼란스러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당원들을 추슬러 ‘정치세력’으로서 존속을 시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재야인사들이나 시민사회단체와의 결합을 꾀하며 생존의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우선 이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는 이날 오후 7시 서울광장에서 ‘박근혜 2년 못살겠다! 다 모여라!’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촛불집회에 참석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는 당원들을 중심으로 이번 해산판결을 비판하면서 다른 시민사회 단체들의 연대를 호소할 전망이다.
또 이제까지 통합진보당 해산에 반대해 온 사회 원로들을 계속 면담하면서 해산결정 반발 여론에 불을 지피려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을 비롯한 다른 정당에도 접촉을 시도하며 정치권에서의 이슈화를 이어가는 방안도 검토할 전망이다.
다만 당 안팎에서는 국고보조금까지 압류되고 자산이 동결조치된 상황에서 활동을 지속할 동력이 생길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당명을 다시 사용할 수 없고 기존 강령과 유사한 대체정당을 만들지 못하게 돼, 선관위에 등록하지 않은 대체조직으로는 활동을 이어나가기가 쉽지 않다는 전망도 있다.


ㅇㅇ
[경향신문] 미 NYT “박근혜 정부, 정치인들을 종북으로 몰고 있다”
ㆍBBC “집회·결사의 자유에 우려”
국제앰네스티는 19일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는 또 다른 신호”라고 우려했다. 로젠 라이프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사무소 조사국장은 “(한국) 당국이 표현과 결사의 자유를 존중하고 지킬 의지가 있는지 심각한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진보당이 박근혜 정부를 가장 강하게 비판해왔고, 당원 10만명으로 한국 3위 규모의 정당이라 소개하면서 “한국에서 정당 강제해산은 1958년 이후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선동에 강력 대응하겠다고 하면서, 국내 정치인들을 ‘종북’으로 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BBC방송도 헌재 결정이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박 대통령의 아버지를 비롯해 과거 독재자들이 정치그룹을 해체하고 정당활동을 금지시킨 적은 있지만 그 후 한국은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면서 “한국에서 표현 자유의 한계를 드러내보인 결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보수파와 리버럴(자유주의자)들이 갈라진 가운데 박근혜 정부가 개입해 이끌어온 문제였다”며 정당 강제해산은 수십년 만에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ㆍBBC “집회·결사의 자유에 우려”
국제앰네스티는 19일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는 또 다른 신호”라고 우려했다. 로젠 라이프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사무소 조사국장은 “(한국) 당국이 표현과 결사의 자유를 존중하고 지킬 의지가 있는지 심각한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진보당이 박근혜 정부를 가장 강하게 비판해왔고, 당원 10만명으로 한국 3위 규모의 정당이라 소개하면서 “한국에서 정당 강제해산은 1958년 이후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선동에 강력 대응하겠다고 하면서, 국내 정치인들을 ‘종북’으로 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BBC방송도 헌재 결정이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박 대통령의 아버지를 비롯해 과거 독재자들이 정치그룹을 해체하고 정당활동을 금지시킨 적은 있지만 그 후 한국은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면서 “한국에서 표현 자유의 한계를 드러내보인 결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보수파와 리버럴(자유주의자)들이 갈라진 가운데 박근혜 정부가 개입해 이끌어온 문제였다”며 정당 강제해산은 수십년 만에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어제도 강조했듯이,
종북몰이도 종북만큼 위험한 것인만큼 경계해야 한다는 건 진리.
종북몰이도 종북만큼 위험한 것인만큼 경계해야 한다는 건 진리.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어제 헌재 판결을 환영하는 사람이 많은데, 만에하나 극우정당이 부랄 철렁거릴때 입다물고 있으면 통진당 애들이나 다름업ㅂ음ㅇㅇ
tag : 정희야_니가_한짓을_봐봐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