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LVP의 お姉黨舍 - 설정변경 확정+진행중 84%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당 정치위원회의 잡담] 언젠 있었다고...(...)

$
0
0
[경향신문] 고노 전 장관 “위안부 문제 부정 땐 일본 국가신용 상실”

ㆍ“인권의식 의심받을 것”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주역 고노 요헤이(河野洋平·75·사진) 전 관방장관은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부정할 경우 국가신용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노 전 장관은 8일 요미우리신문 연재물 ‘시대의 증언자’ 편집자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1993년 발표한 고노 담화는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미국의 국립공문서관 등의 자료를 신중하게 검토해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내각의 책임하에 결정한 ‘내각의 의지’라고 규정했다. 그는 “자료상의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전후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고통을 겪고 있는 여성(위안부)의 존재와 전쟁 중의 비극까지 없었다는 주장에 슬픔을 느낀다”면서 “아시아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으로부터도 일본의 인권의식이 의심받아 국가의 신용을 잃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전임자인 가토 고이치(加藤紘一) 관방장관이 1992년 7월 위안부 문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사과했으나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문서로 확인되지 않아 자신이 경찰과 방위성, 외무성, 문부성, 후생노동성 등 각 부처에 다시 조사를 의뢰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위안부 16명을 대상으로 한 청취 조사를 통해 “일본군이 위협해 여성을 연행하거나,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고 속였으며, 때로는 하루 20명 이상의 병사를 상대했고, 일본군이 패주할 때 버려졌다는 증언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일들이 “일본군에 거역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강제성’을 인정해야 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했다”면서 “당시 증언을 읽은 미야자와 총리가 충격을 받기도 했다”고 밝혔다.

고노 전 장관은 지난달 시사월간 세카이(世界)와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일본 내 움직임을 비판한 바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총재와 민주당의 마쓰바라 진(松原仁) 전 국가공안위원장 등은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증거가 없다며 고노 담화를 수정하거나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예전부터 (적어도 아시아권에서) 신용이란 것 자체가 없었고,

쟤들이 제일 무서워하는게 

'미국과 유럽으로부터도 일본의 인권의식이 의심받아 

국가의 신용을 잃'는다는 그...(...)





감정을 떠나서 어차피 일본이 '지들이 뭐래도(?)' 아시아계 국가인 이상, 일본의 외교 기반은 아시아가 될 수밖에 없는데, 탈아입구 드립치다가 이제와서 탈구입아를 하려니, (그 과정에서 돈털리고 집털리고 사람털린) 이동네 사람들이 받아주지도 않을뿐더러, 본인들도 그럴 생각이 없으니, 고노 요헤이의 지적은 정확하지만 쓸데없음.


※그리고 시끄러울 부분만 피해가서, 문제의 근원을 안잡으면 문제가 커짐. 재차 강조하지만, 과거사 문제의 근원은 똥조영기가 아니라, 쨉스킹 메이지유신임ㅇㅇ


tag :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