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보훈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 종편은 근거없이 5·18 역사 왜곡
33주년을 맞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수난을 겪고 있다.
정부는 민주화운동의 상징인 ‘임을 위한 행진곡’에 공식 기념곡에 준하는 지위를 부여하지 않기로 했으며, 일부 종합편성채널은 근거도 없이 북한군 개입설을 제기하며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16일 5·18 기념식 본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이 아닌 합창 형태로 부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 ‘임을 위한 행진곡’은 일부 노동·진보단체에서 민중의례 시 애국가 대신 부르는 노래이며 정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일어나 주먹을 쥐고 흔들며 노래를 부르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 등이 제기돼 제창 형태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정부가 공식적으로 5·18 기념식을 주관한 2003년부터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까지 제창됐다. 그러나 2009~2010년 기념식 공식 식순에서 빠졌고, 2011~2012년에는 합창단만 부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5·18 민중항쟁 33주년 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와 5·18 유족회 등 3개 관련 단체는 행사 불참을 결정해 올해 기념식도 반쪽으로 치러지게 됐다.
5·18 부상자회 신경진 회장은 “2010년 기념식 때에는 ‘방아타령’을 추모곡으로 들고 나왔는데 이번엔 30년 이상 불려온 노래를 퇴출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된 5·18을 정부가 홀대하려 하는 데 대해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게 돼 있던 시립합창단도 기념식에 보내지 않기로 했다.
광주시민들이 제창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립합창단이 이에 반하는 합창을 할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시립합창단은 2011년과 지난해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의미에 대한 왜곡·폄훼도 강화되고 있다. 지난 13일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에는 전 북한 특수부대 장교 출신 탈북자라는 한 남성이 출연해 5·18 당시 “600명 규모의 북한 1개 대대가 (광주에) 침투했다”면서 “전남도청을 점령한 것은 북한 게릴라”라고 주장했다. 채널A <김광현의 탕탕평평>도 15일 5·18 당시 “남파 지휘 총책임자 호위 역할로 남파됐다”고 주장하는 한 탈북자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두 방송은 이 탈북자의 주장을 입증할 근거는 제시하지 못했다.
이는 역사적으로 공인된 사실을 왜곡해 5·18의 역사적 의미를 폄하하는 것으로 전파의 공공성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사회적 합의에 의문을 제기할 수는 있지만 근거를 가지고 해야 하는데 두 종편은 일방적 주장을 근거 제시도 없이 내보냈다”면서 “종편이 지향하는 성격과 맞아떨어져서 무리한 일을 벌인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5·18은 국가가 기념하는 우리나라 민주화의 국가 브랜드”라며 “(종편 보도는) 국격 떨어지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조국 서울대 교수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5·18 이후 독재정권이 유포한 5·18 폄하 발언을 30년 후 다시 듣게 되다니”라며 “(일본 극우파의 역사왜곡처럼) 5·18 등 민주화운동을 북한과 연결시키는 한국 극우몰상식파의 현대사 왜곡에 똑같이 분노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방송통신위원회에 두 보도의 심의를 요청했다.
33주년을 맞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수난을 겪고 있다.
정부는 민주화운동의 상징인 ‘임을 위한 행진곡’에 공식 기념곡에 준하는 지위를 부여하지 않기로 했으며, 일부 종합편성채널은 근거도 없이 북한군 개입설을 제기하며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16일 5·18 기념식 본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이 아닌 합창 형태로 부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 ‘임을 위한 행진곡’은 일부 노동·진보단체에서 민중의례 시 애국가 대신 부르는 노래이며 정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일어나 주먹을 쥐고 흔들며 노래를 부르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 등이 제기돼 제창 형태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정부가 공식적으로 5·18 기념식을 주관한 2003년부터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까지 제창됐다. 그러나 2009~2010년 기념식 공식 식순에서 빠졌고, 2011~2012년에는 합창단만 부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5·18 민중항쟁 33주년 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와 5·18 유족회 등 3개 관련 단체는 행사 불참을 결정해 올해 기념식도 반쪽으로 치러지게 됐다.
5·18 부상자회 신경진 회장은 “2010년 기념식 때에는 ‘방아타령’을 추모곡으로 들고 나왔는데 이번엔 30년 이상 불려온 노래를 퇴출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된 5·18을 정부가 홀대하려 하는 데 대해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게 돼 있던 시립합창단도 기념식에 보내지 않기로 했다.
광주시민들이 제창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립합창단이 이에 반하는 합창을 할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시립합창단은 2011년과 지난해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의미에 대한 왜곡·폄훼도 강화되고 있다. 지난 13일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에는 전 북한 특수부대 장교 출신 탈북자라는 한 남성이 출연해 5·18 당시 “600명 규모의 북한 1개 대대가 (광주에) 침투했다”면서 “전남도청을 점령한 것은 북한 게릴라”라고 주장했다. 채널A <김광현의 탕탕평평>도 15일 5·18 당시 “남파 지휘 총책임자 호위 역할로 남파됐다”고 주장하는 한 탈북자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두 방송은 이 탈북자의 주장을 입증할 근거는 제시하지 못했다.
이는 역사적으로 공인된 사실을 왜곡해 5·18의 역사적 의미를 폄하하는 것으로 전파의 공공성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사회적 합의에 의문을 제기할 수는 있지만 근거를 가지고 해야 하는데 두 종편은 일방적 주장을 근거 제시도 없이 내보냈다”면서 “종편이 지향하는 성격과 맞아떨어져서 무리한 일을 벌인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5·18은 국가가 기념하는 우리나라 민주화의 국가 브랜드”라며 “(종편 보도는) 국격 떨어지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조국 서울대 교수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5·18 이후 독재정권이 유포한 5·18 폄하 발언을 30년 후 다시 듣게 되다니”라며 “(일본 극우파의 역사왜곡처럼) 5·18 등 민주화운동을 북한과 연결시키는 한국 극우몰상식파의 현대사 왜곡에 똑같이 분노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방송통신위원회에 두 보도의 심의를 요청했다.
진짠가보네ㅋ
휴전선과 동서해안 대잠대해망을 병신으로 만든
주체놀로지를 선전하는 반국가단체!!!
휴전선과 동서해안 대잠대해망을 병신으로 만든
주체놀로지를 선전하는 반국가단체!!!
언제나 느끼는 거지만, 저 특수부대 탈북자를 국빵부에서 모셔서 주체놀로지 연구 좀 해보라고 강력히 권하고 싶음ㅋ
tag : 광주민주화운동, 주체놀로지를_빠는걸보니_간첩이_틀림업ㅂ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