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당 정치위원회의 잡담] 밀린 뉴스들 - 그러게 사기질도 손발이 맞아야...外

[1]

[경향신문] 위안부 강제연행 증거 없다던 일본 정부, 도쿄전범재판 자료 외면 등 부실 조사했다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가 2007년 “강제연행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없다”는 내용의 각료회의 결정을 내렸으나 이는 일본 정부가 보관 중인 모든 자료를 검토한 뒤 내린 결과가 아님이 드러났다. 일본 정부의 결정이 부실한 조사를 기반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1차 내각은 2007년 3월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 군이나 관헌의 강제연행을 직접 나타내는 기술은 없었다”는 공식 견해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가미 도모코(紙智子) 공산당 참의원이 제기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질문에 대해 아베 내각이 지난 7일 내놓은 공식답변서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열린 도쿄전범재판 관련 문서들에 대해 충분한 조사를 하지 않았음을 사실상 시인했다.

9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답변서에 따르면 가미 의원은 일본군 병사들이 중국 구이린(桂林)과 인도네시아에서 중국과 네덜란드 여성을 성폭행한 뒤 위안부로 삼았다는 진술을 담은 도쿄전범재판 증거 자료를 거론하며 “정부는 (1993년) 고노담화 발표 전후에 이런 문서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는가”라고 질의했다. 아베 내각은 답변서에 “이 문서들은 법무성에 보관돼 있었지만, 내각관방에는 없었다”며 “1993년 8월4일 조사 결과 발표(고노담화) 시까지 정부가 발견한 자료에는 군이나 관헌의 강제연행을 나타내는 기술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문서들은 일본 법무성이 보관해오다가 1999년 국립공문서관으로 이관됐다. 답변서는 도쿄전범재판 증거 자료에 대해서는 “개별 문서를 취득한 시기 등이 명확하지 않다”고 평가절하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2007년부터 강조해온 ‘정부가 발견한 자료에 강제연행 증거가 없다’는 것은 일본 정부 전체가 아니라 내각관방이라는 특정 부서에, 그것도 고노담화를 발표할 때까지 자료가 없었다는 것이라고 가미 의원 측은 지적했다. 가미 의원실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2007년 각료회의 결정은 일본 정부가 각 부처의 모든 관련자료를 검토한 뒤 내린 결론이 아니라는 점이 이번 질의를 통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번 질의에서 제시된 도쿄재판 관련 자료는 2007년 4월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 등이 공개한 내용이다. 일본 정부는 이는 증언과 진술에 불과하며 강제연행을 지시한 정부 내부 문서 등이 발견되지 않은 만큼 ‘강제연행 증거는 없다’고 강변해오고 있다. 답변서는 다만 “사안의 성질상 고노담화 발표 후에도 새로운 자료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어서 관계 부처에 ‘내각관방에 보고하라’고 요구했다”며 허점이 있었음을 간접 인정했다.



뭐 졸라 새삼스럽기도 하지 아니할수도 없지만(?)

원숭이 꼬랑지로 태양을 가려봐야 니 꼬랑지만 탐ㅇㅇ





[경향신문] 미 의회 “아베 역사인식, 동아시아 역내 관계 혼란 우려”


ㆍ보고서 ‘아시아 희생 부정하는 강고한 국수주의자’ 평가

미국 의회조사국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역사인식에 대해 “동아시아 역내 관계를 혼란시키고 미국의 국익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는 내용의 ‘미·일관계 보고서’를 작성했다.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이 한·일관계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미국의 아시아 전략에도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공개 표명한 것이어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 의회는 아베 총리의 1차 내각 당시인 2007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사죄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아베 정권에 타격을 입힌 바 있다.

9일 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보고서는 아베 총리에 대해 “논쟁거리인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최근 아베 총리와 일본 내각이 내놓은 발언과 행동은 일본이 역내 관계를 잘못되게 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아베 총리가 ‘강고한 국수주의자’로 알려져 있다면서 “제국주의 일본의 침략과 아시아의 희생을 부정하는 역사수정주의에 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를 둘러싼 아베 총리의 언행을 두고선 “미국과 주변국으로부터 주시를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아베 내각의 일부 각료도 “극단적인 국가주의적 시각을 갖고 있다”면서 여러 각료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고, 이에 중국과 한국이 반발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인정한 1995년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해 아베 정권이 지난달 23일 국회 답변에서 “침략의 정의는 국제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언급한 데 대해 미국이 비공식적으로 우려를 전달했다는 보도 내용도 포함돼 있다. 아울러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군의 간여를 인정한 1993년 ‘고노담화’에 대한 수정이 아베 총리의 지론이지만 만약 수정될 경우 한·일관계가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위안부’라는 표현 대신 ‘성노예’라는 용어를 쓸 것을 국무부에 지시했다는 보도도 언급했다.

보고서는 “아베 총리는 미·일동맹의 강한 지지자이지만 미국의 국익을 해칠 수 있는 역사인식 문제에 제대로 대응할 것인지 의문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 의회조사국의 보고서는 의회의 공식 견해는 아니지만 의원들의 활동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등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보고서를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에 대한) 향후 대응에 따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미군과 자위대에 의한 안전보장협력 등에 지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8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지난달 자신의 ‘침략부정’ 발언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침략을 부정한 건 아니다’라는 취지의 답변안을 준비해 놓고도 거론하지 않았다고 9일 보도했다. 아베는 또 자신의 발언이 침략에 대한 정의를 결의한 1974년 유엔총회 결정을 무시하는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 질의에 “유엔총회가 침략의 정의에 대해 결의한 것은 안보리가 침략행위를 결정하기 위한 ‘참고’ 사항”이라고 답변하는 등 침략을 부정하고 싶은 속내를 드러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러게, 극동군사재판 대충대충 하니까, 골아파 죽겠지ㅇㅇ?


어떤 의미에선, 이집 시끄러운 것도 어느정도는 니네들 책임ㅇㅇ

....왜? 내가 미국이라고 다 박수쳐주고 그럴줄 알았어??




[2]

[경향신문] 日 아베 총리, ‘731’ 세균부대 지지하듯

침략 부정’ 발언 등 우익 행보를 보여온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자위대 기지 시찰 중 관동군 세균부대인 ‘731부대’를 연상시키는 사진을 촬영해 논란이 일고 있다.

아베 총리는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의 항공 자위대 기지를 지난 12일 방문해 곡예비행단인 ‘블루 임펄스’를 시찰하면서 T-4 훈련기 조종석에 앉아 엄지손가락을 들어 올리며 웃고 있는 모습의 사진을 촬영했다. 조종석 아래는 흰 바탕 위에 일장기를 상징하는 붉은 원과 숫자 ‘731’이 새겨져 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지난 12일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의 항공자위대 기지를 방문한 아베 신조 총리가 옛 일본군의 세균부대 이름를 연상시키는 ‘731’ 훈련기에 탑승,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다. 아베 신조 페이스북 팬페이지



‘731’은 중일 전쟁 당시 인간을 마루타로 생체실험을 했던 ‘731부대’를 연상시킨다. 일본 관동군에 소속됐던 이 부대는 1932~1945년 만주 하얼빈 일대에 주둔하며 중국·한국·러시아인 등 전쟁포로에 대해 해부와 냉동 등 생체실험을 자행한 세균전 부대다.

아베 총리는 지난 5일에도 도쿄돔 프로야구 경기 시구 당시 유니폼에 등번호 ‘96번’을 달고 나와 헌법 96조(개헌 발의 관련 조항) 개정을 암시한 것이라는 추측도 나왔다.

여기에 일본 군국주의 만행의 상징인 731 부대를 떠올릴만한 사진을 찍은 것은 최근 우경화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독일 총리가 재미로 나치 친위대 유니폼을 입은 것과 같은 격”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경향신문] 일 우익 하시모토 “위안부, 당시에 필요했다” 또 망언

ㆍ“왜 일본만 문제되나”… 납치·강제동원 부인도

일본의 우익 정치인인 하시모토 도루(橋下徹·44·사진) 일본유신회 공동대표 겸 오사카시장이 13일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전쟁 당시에) 필요했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일”이라며 위안부 제도를 두둔하는 발언을 했다.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하시모토 대표는 이날 오사카시청에서 기자들에게 “(일본군 병사들은) 총탄이 비바람처럼 교차하는 중에 목숨을 걸고 달렸다. (그들을) 어딘가에서 휴식하도록 한다고 할 때 위안부 제도는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왜 일본의 위안부제도만 문제가 되느냐. 당시는 세계 각국이 (위안부 제도를) 갖고 있었다”면서 “폭행, 협박을 해서 납치한 사실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인했다.



하시모토는 또 “침략의 정의는 정해지지 않았다”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주장에 대해 “침략에 학술적인 정의는 없다는 것은 총리가 이야기한 대로”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일본은 패전국이다. 패전의 결과로서 ‘(일본의 전쟁은) 침략이다’라는 것(논리)을 수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실제로 다대한 고통과 손해를 주변국가에 준 것도 틀림없다. 반성하고 사과해야 한다”며 담화 유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81) 전 도쿄도 지사와 함께 보수야당 일본유신회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하시모토는 지난해 8월에는 “위안부가 (일본군에) 폭행·협박을 당해서 끌려갔다는 증거는 없다. 있다면 한국이 내놨으면 좋겠다”고 말해 한국 등의 반발을 산 바 있다. 하시모토는 한때 차세대 총리감으로 꼽힐 정도로 인기를 모았으나, 아베의 자민당 정권의 높은 지지율에 가려 주춤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일본유신회는 최근 개헌발의 요건을 정한 헌법 96조 개정을 적극 지지하고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을 주장하는 등 아베 정권과 정치적 보조를 같이 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하시모토 시장의 발언에 대해 “개인의 발언이라고 생각한다”며 “정부 방침은 별개로 정해져 있다”고 밝혔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다운폴과 원자福탄. 당시와 지금도 필요하다 ㅇㅇ


가끔은 맞을 짓을 하는 어린이들이 나온다는 것이 '맞을 짓'이라는 단어를 완벽하게 정당화해주는 걸 보면, 옛말 틀린 거 하나 업ㅂ는듯ㅇㅇ



[3]

[경향신문] 오키나와 주민들 “차라리 독립” 우익들은 “매국노”

ㆍ아베 집권 후 더 깊어지는 본토와의 갈등

일본의 남쪽 끝에 위치한 오키나와(繩沖)와 일본 본토 간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미군기지 이전 문제를 둘러싼 일본 정부와 오키나와 간의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사고가 잦은 미군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 배치,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주권회복 기념일’ 개최가 오키나와 주민들의 자존심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중·일 갈등 영향으로 미국 의존 심리가 높아지면서 본토의 우익들은 ‘매국노’ 등 거친 언사를 써가며 ‘오키나와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열패감에 빠진 오키나와 현지에선 ‘독립론’이 불거지고 있으며, 깊어진 갈등의 틈을 타고 중국이 오키나와 영유권을 거론하는 심상치 않은 국면이 전개되고 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일본 정부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발효 61주년을 맞아 지난달 28일 ‘주권회복 기념식’을 열자 같은 날 오키나와현 기노완시 주민들이 이에 반발해 ‘굴욕의 날’이라외치며 항의 집회를 하고 있다. 기노완 | AP뉴시스


일본의 보수·우익 월간지 ‘세이론(正論)’은 최근호(6월호)에서 ‘미·일동맹의 적을 용서하지 말라’는 제목의 오키나와 특집기사를 실었다. 후텐마(普天間) 등 오키나와 미군기지 일대에서 벌어지는 반대운동이 미군에 대한 일방적인 폭력과 공갈 수준으로 과격한 데다 현지 어린 학생들에게까지 ‘반미’ 세뇌교육을 시키고 있다는 것이 요지다. “후텐마 기지 게이트 앞에서 연일 기지 반대 활동가들이 메가폰으로 미군 승용차에 고함을 지르거나, 아예 차 유리창 안으로 메가폰을 집어넣고 협박을 하는 일도 벌어진다.” 

사고가 잦은 미군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에 대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자체 조사를 통해 벽신문을 제작하도록 한 중학교 수업을 소개하며 “의무교육 현장에서 소름끼치는 (반미) 세뇌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 본토 우익들의 시선은 아베 정권 등장 이후 더 험악해지고 있다. 지난 1월27일 도쿄 긴자에서 열린 미군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 배치 반대집회에 참석한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우익단체 회원들은 “매국노” “일본에서 꺼지라”고 고함을 쏟아냈다. 중·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미집회를 여는 것은 미·일동맹에 찬물을 끼얹는 매국행위라는 논리다. 우익들이 모여드는 인터넷 공간에서는 “오키나와의 좌익들이 중국의 공작원이며 중국 정부로부터 활동자금을 받고 있다”는 등의 근거 없는 비방이 쏟아지고 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제주도보다 조금 큰 2276.49㎢에 140만명이 거주하는 오키나와는 메이지(明治) 시대인 1879년 일본에 병합됐고, 2차 세계대전 때는 일본에서 유일하게 미국과 지상전을 치르면서 10만명의 민간인이 희생됐다. 종전 후엔 일본 본토를 대신해 1972년까지 미군정의 지배를 받았고, 전체 주일 미군기지의 74%가 배치돼 있다.

전후 질서의 모순이 집약된 오키나와에 대해 과거 일본인들의 시선에는 온기가 있었으나 최근 들어 눈에 띄게 냉랭해지고 있다.

특히 보수·우익인 아베 총리의 집권 이후 오키나와에 대한 ‘푸대접’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현지인들은 느낀다. 특히 지난달 28일 일본 정부 주최로 열린 ‘주권회복의 날’ 행사에서 아베 총리 등 참가자들이 일왕 앞에서 “덴노헤이카 반자이(천황폐하 만세)”를 외친 것은 오키나와인들의 자존심을 짓밟았다. 4월28일은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돼 일본이 점령체제에서 벗어났지만 대신 오키나와가 1972년까지 미군정 통치를 받게 된 ‘굴욕의 날’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덴노헤이카 반자이”란 외침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오키나와인들에게 강요된 집단자살의 악몽을 떠올리게 했다.

대만 어선의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부근 조업을 인정하기로 한 일·대만 어업협정도 오키나와현과의 사전협의 없이 진행했다. 뒤늦게 결과를 전해들은 나카이마 히로카즈(仲井眞弘多) 지사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심히 유감이라고밖에 할 말이 없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일본 정부가 지난달 말 북한 미사일 발사위협에 대비하겠다며 오스프리 12대를 추가 배치하기로 하자 주민들은 “지지율이 높아지니 오키나와는 무시해도 되는 거냐”며 반발했다. 오키나와 현지에서는 이런 푸대접을 받느니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자는 주장들이 강해지고 있다. ‘류큐(옛 오키나와 이름)독립론’을 주장해온 마쓰시마 야스가쓰(松島泰勝) 류코쿠대학 교수(50)가 주도하는 류큐독립론 연구회가 오키나와 반환 41주년인 오는 15일 발족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일본 오키나와 영유권 문제를 거론하고 나서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이 문제를 바라보는 오키나와의 시선은 단순하지 않다. 현지 언론인 류큐타임스는 지난 10일자에 “일본 정부는 중국에 항의하고 나섰지만, 과거 일본이 무력으로 오키나와를 병탄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라며 “오키나와의 반응은 중국 비판 일변도는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해당 사진에 대한 링크는 여기를 참고>


알고 계십니까? 前류큐 왕국은 원래 독립국이였고

쨉스 나부랭이들에게 침략당한 이후 온갖 제국주의의 실험장이 되서 고생만 하다가

오키나와 공방전에서 일본(제국이)라 불리는 흉악무도한 폭도들에게

사람 여럿 살해당한 지역입니다.






[경향신문] ‘오키나와 독립’ 단체 결성

ㆍ일본 귀속 41년 맞아 발족… 중국선 영유권 또 거론

오키나와 반환 41주년을 맞아 현지 지식인들이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는 단체를 결성했다. 아베 신조 정권 출범 후 오키나와의 소외감이 깊어지면서 ‘독립론’이 빈번히 거론되고 있고, 중국이 오키나와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복잡한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마쓰시마 야스카쓰(松島泰勝) 류코쿠대학 교수(50) 등이 주도하는 ‘류큐민족독립종합연구학회’가 15일 오키나와에서 발족식을 갖고 활동을 개시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류큐(琉球)는 오키나와의 옛 명칭이며, 이날은 오키나와가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미국령이 됐다가 1971년 일본에 반환된 지 41년이 되는 날이다.

마쓰시마 교수는 지난 12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는) 미·일 동맹의 이익만을 향유할 뿐 희생은 오키나와에 강요한다”며 “일본 정부에 맡겨서는 기지문제나 차별해소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태평양의 팔라우섬도 인구 2만명의 조그만 섬이지만 어엿한 독립국”이라며 “인구 140만명인 오키나와가 독립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 중국이 오키나와 영유권을 제기하고 있는 것에 대해 “류큐가 중국의 속국이었다는 중국의 주장은 잘못이며, 류큐는 일본, 중국 어느 쪽도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오키나와 독립론은 오랫동안 거론돼 왔으나 2009년 후텐마 미군기지 이전을 둘러싼 논쟁과정에서 새삼 불거졌다. 미군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 배치 논란, 아베 정권의 ‘주권회복 기념일’ 개최 등이 주민 자존심에 상처를 내며 독립 목소리가 강해지고 있다. 오키나와가 지역구인 데루야 간토쿠(照屋寬德·67) 사민당 의원은 지난달 초 “오키나와가 이렇게 차별을 받느니 일본으로부터 독립하는 게 낫다고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다.

한편 중국 군부의 강경파로 알려진 뤄위안(羅援) 중국전략문화촉진회 상무 부회장 겸 비서장(인민해방군 소장)은 14일 중국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류큐는 대만 열도의 일부분이므로 중국의 일부분이지 절대 일본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난 8일 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오키나와 귀속 문제를 재논의할 시점이 됐다는 전문가 기고문을 게재한 데 이어 또다시 오키나와 귀속 문제를 거론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류큐민족독립종합연구학회의 발족을 진심으로 축하하는 바입니다.



[경향신문] 중·일 이번엔 ‘오키나와 분쟁’… 영유권 싸움 확대 조짐


ㆍ중 학계 “주권 재고해야”
ㆍ일 관방 “결코 수용 못해”

중국과 일본 간 영유권 분쟁 전선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에서 오키나와로 확대될 조짐이 나타나면서 양국 간 분쟁이 복잡한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오키나와에 140만여명의 일본 국적 주민이 거주하고 있고, 미군기지가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적극적으로 분쟁 지역화를 시도한다면 되레 역풍을 맞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난 8일 중국 사회과학원 전문가 2명은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기고문에서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의 주권을 부정했다.

오키나와 영유권은 역사적으로 볼 때 중국에 있으며, 역사적인 미해결 문제에 대해 재고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중국은 오키나와가 원래 류큐(琉球)라는 왕국으로 명·청 시기 중국의 속국이었으나 일본이 1879년 강제로 점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카나와에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의 지상전이 벌어졌으며, 종전 후 미군이 점령하다 1972년 5월15일 일본에 반환됐다.

일본은 국제적으로 전통적으로 오키나와가 일본에 속한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일본 언론들은 ‘중국의 학계’가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오키나와에 대한 중국 학계의 주장이 중국 정부 입장이라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중국의 의도는 화춘잉(華春瑩) 외교부 대변인의 지난 9일 정례브리핑 발언에서 엿볼 수 있다. 그는 “오키나와와 류큐 제도의 역사는 학술계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진 문제로 최근 들어 또다시 불거졌는데, 이 배경에는 일본 측이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계속해서 도발적인 행위를 일삼고 중국 영유권을 침해한 데 있다”고 말했다. 이로 미뤄 중국이 학계 전문가를 동원해 오키나와 문제를 거론한 것은 센카쿠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심리적 압박 전술로 볼 수 있다.

여기에 미국이 센카쿠 분쟁에서 일본으로 기우는 데 대한 반발이란 해석도 가능하다. 미국은 수차례 센카쿠를 미·일 안보조약에 의거해 미국이 보호해야 할 일본 영토라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오키나와가 중국 봉쇄의 전초기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적지 않다.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10일 “일본이 댜오위다오 문제로 중국에 도발할 때 중국은 오키나와를 반격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문가의 말을 전했다.


그나저나, 저 짱깨공산당은, 선물이랑 덕담은 못할망정, 또 땅욕심 낸다. ㅉㅉ...(...)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