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믄] [일, 세계유산 ‘강제노동’ 부인]일 외상 “강제노동 의미 아니다”… 등재 하루도 안돼 ‘뒤통수’
ㆍ기시다 기자회견…‘물타기 해석’ 일본 내서도 비판
ㆍ희생자 기리는 ‘안내센터’ 설치 이행 여부도 불투명
ㆍ국내 여론 의식, 과거 숨기기 정치적 의도 가능성도
독일 본에서 5일(현지시간) 열린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 대표인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대사가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한 지 하루도 되지 않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이 이를 부인하는 발언을 내놨다. 일본 정부는 또 사토 대사 발언을 의도적으로 오역해 강제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처럼 국내에 소개해 일본 내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기시다 외상은 조선인 강제노동이 자행됐던 군함도 등 일본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직후 사토 대사 발언과 관련,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 등이 6일 보도했다. 앞서 사토 대사는 회의 연설에서 “1940년대에 일본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요된 노동을 했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들은 기시다 외상의 강제성 부인 발언에 대해 노동을 의미하는 ‘labour’ 대신 ‘work’라는 다소 약한 표현을 썼기 때문에 강제성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국내에 소개한 사토 대사 발언의 비공식 번역문에서 ‘forced to work’를 ‘일하게 됐다’고 엉뚱하게 번역해 논란을 부추겼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일본 대표가 발언한 영문 문안을 보면 알 것”이라고 일축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과 협의할 때도 영어로 했고 회의 문서도 영문이 정본”이라며 “일본 발표문에 ‘본인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강제로 노동’한 것으로 명시된 그 뜻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일본이 이처럼 등재 결정문에 잉크도 마르기 전에 자신들이 인정한 강제성을 부인한 것은 국내 여론을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대일 외교소식통은 “일본이 국제무대에서 자신들의 부끄러운 과거를 인정했다는 사실을 국내에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정치적 의도를 갖고 구차한 변명을 한 것”이라며 “영어를 하는 사람 중에 이 발표문을 보고 강제성이 없었다고 이해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말했다.
일본의 이 같은 행태로 미뤄 향후 일본이 약속한 조치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본은 세계유산위원회 연설에서 해당 시설에서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안내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세계유산위는 일본의 후속조치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2017년 12월까지 세계유산위에 강제징용 사실 명시 관련 이행 경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고,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의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장치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이를 성실히 이행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일본 정부가 해당 산업시설이 위치한 각 지방자치단체에 안내센터 설치와 역사적 설명 의무 등을 맡길 경우 이 조치들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강제징용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는 이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일본이 약속한 조치들이 이행되는지 국제사회와 연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ㆍ기시다 기자회견…‘물타기 해석’ 일본 내서도 비판
ㆍ희생자 기리는 ‘안내센터’ 설치 이행 여부도 불투명
ㆍ국내 여론 의식, 과거 숨기기 정치적 의도 가능성도
독일 본에서 5일(현지시간) 열린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 대표인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대사가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한 지 하루도 되지 않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이 이를 부인하는 발언을 내놨다. 일본 정부는 또 사토 대사 발언을 의도적으로 오역해 강제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처럼 국내에 소개해 일본 내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군함도
기시다 외상은 조선인 강제노동이 자행됐던 군함도 등 일본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직후 사토 대사 발언과 관련,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 등이 6일 보도했다. 앞서 사토 대사는 회의 연설에서 “1940년대에 일본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요된 노동을 했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들은 기시다 외상의 강제성 부인 발언에 대해 노동을 의미하는 ‘labour’ 대신 ‘work’라는 다소 약한 표현을 썼기 때문에 강제성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국내에 소개한 사토 대사 발언의 비공식 번역문에서 ‘forced to work’를 ‘일하게 됐다’고 엉뚱하게 번역해 논란을 부추겼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일본 대표가 발언한 영문 문안을 보면 알 것”이라고 일축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과 협의할 때도 영어로 했고 회의 문서도 영문이 정본”이라며 “일본 발표문에 ‘본인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강제로 노동’한 것으로 명시된 그 뜻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일본이 이처럼 등재 결정문에 잉크도 마르기 전에 자신들이 인정한 강제성을 부인한 것은 국내 여론을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대일 외교소식통은 “일본이 국제무대에서 자신들의 부끄러운 과거를 인정했다는 사실을 국내에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정치적 의도를 갖고 구차한 변명을 한 것”이라며 “영어를 하는 사람 중에 이 발표문을 보고 강제성이 없었다고 이해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말했다.
일본의 이 같은 행태로 미뤄 향후 일본이 약속한 조치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본은 세계유산위원회 연설에서 해당 시설에서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안내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세계유산위는 일본의 후속조치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2017년 12월까지 세계유산위에 강제징용 사실 명시 관련 이행 경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고,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의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장치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이를 성실히 이행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일본 정부가 해당 산업시설이 위치한 각 지방자치단체에 안내센터 설치와 역사적 설명 의무 등을 맡길 경우 이 조치들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강제징용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는 이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일본이 약속한 조치들이 이행되는지 국제사회와 연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새끼들 말대로라면, 강제징용 노동자는 포스를 사용하는 노동자냐...???
이제 핑거의 반대말은 오므링거라고 씨부릴 일만 남았네ㅋ
※나이롱으로 영어배운 나도 저딴 해석은 못함ㅋ
tag : 쨉스아베는_포쓰와_함께합니다ㅇㅇ, 저러니_쨉스_소릴_듣지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