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당 정치위원회의 잡담] 지난 뉴스들 몇개

[경향신문] 일본 도쿄에서 한 달 동안 ‘아리랑’이 울려퍼진다

※원래는 디지털뉴스팀이라 아웃이지만, 일단 올림.

일본 도쿄에 ‘아리랑’이 울려 퍼진다.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양교육원 교수는 17일부터 한 달 동안 도쿄의 신오쿠보역 주변의 K-PLAZA의 대형 전광판에 ‘DO YOU HEAR?(들리나요?)’라는 제목의 30초짜리 아리랑 광고를 하루 50회씩 총 1500회를 상영한다고 밝혔다.

‘아리랑’ 광고는 지난 6월 경기도·수원시·경기도 문화의전당이 함께 주최한 ‘또 하나의 애국가-아리랑 아라리요’ 페스티벌에서 모은 수익금으로 제작했다. 광고에는 이 페스티벌의 장면들이 삽입됐다. 차인표·안성기·박찬호 등 유명인사들도 무료로 이 광고에 출연했다.

서 교수는 “중국이 최근 아리랑을 중국 무형유산으로 등재하는 이른바 ‘문화공정’을 시작해 이에 맞서기 위해 우리의 음악인 ‘아리랑’을 지켜나가고 또한 세계인에게 널리 알리고자 광고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영상을 영국 런던의 피카딜리서커스 광장에도 올렸던 서 교수는 옥외 전광판뿐만 아니라 유튜브와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알리고 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도쿄 신오쿠보역 주변의 K-PLAZA에 걸린 아리랑 광고판 앞에서 서경덕 교수. /연합뉴스




차인표는 “K-팝이 요즘 세계 곳곳에 널리 퍼져 나가고 있을 때 우리의 전통음악인 아리랑을 함께 널리 알린다면 우리나라의 문화 이미지를 상승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이번 아리랑 광고에 함께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지난 7월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도 아리랑 광고를 올렸다. 타임스스퀘어에 독도와 동해·비빔밥·아리랑 등을 주제로 6차례 광고를 내보냈던 서 교수는 이들 콘텐츠를 모아 내년에 타임스스퀘어에 ‘대한민국 전용 광고판’을 세울 계획이다.


일단 로케이션 자체가 미스ㅇㅇ

그리고 벌써 관심구걸을 갈구하는 자세가 나오는 걸 보면

상당한 '전문가'인듯ㅋ


개인적으론 독도광고 그거 졸라 안좋게 봄. 한국 영토인거 당연한데, 뭐하러 옆집 ㅄ들처럼 관심을 구걸하시나? 그럴 시간 있으면, 차라리 사료모으는데 가서 도움이나 주시지? 아닌말로, 소위 말하는 '한류'가 들이대서 된 게 아닐텐데?

위안부 포스터는 내가 좀 인정. 근데 이게 수단이 관심구걸식이라 레벨이 좀 떨어지니, 이것도 좀...(...)


[경향신문] 중 ‘만주사변 81주년’ 반일 시위… 센카쿠 해상 감시선 11척 등장


ㆍ100여 도시서 동시다발 … 폭력 양상 최대 고비 넘겨
ㆍ일 해상보안청은 접근금지 경고… ‘충돌’ 가능성 여전

중국이 국치로 여기는 ‘만주사변’ 발발 81주년인 18일 중국 100여개 도시에서 반일 시위가 열렸다. 일본 기업과 상가들이 상당수 휴업 조치를 내리면서 파괴, 약탈 등의 폭력 양상은 지난 주말보다 약해졌다. 그러나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 중국 어업지도선과 해양감시선이 출현하고 있어 해상 충돌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일본 교도통신 집계에 따르면 국치일인 이날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100여개 도시에서 반일 시위가 벌어졌다.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 이후 최대 규모를 보인 지난 15~16일을 정점으로 주춤하던 반일 시위에 국치일이 촉매제로 작용했다. 반일 시위는 9월18일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오전 9시18분 중국 전역에서 동시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만주사변 인민 영웅 동상 앞에서 중국 반일 시위대가 만주사변 81주년을 맞은 18일 쓰촨성 성도 청두의 인민 영웅 동상 앞에서 공산당 깃발을 흔들며 일본을 규탄하고 있다. 청두 | AP연합뉴스



베이징 주재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1만여명이 운집해 “만주사변을 기억하자” “댜오위다오는 중국 땅” 등의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와 오성홍기, 마오쩌둥 초상화 등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일부 시위대는 “일본 상품 불매” 등을 외쳤으며 일부는 대사관을 향해 사과와 물병, 계란을 던졌다. 일본 대사관 앞으로 돌진하던 시위대는 무장 경찰들과 몸싸움을 벌이다 체포돼 시위 구역 밖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상하이에서 일부 시위자들은 일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사진에 ‘X’ 표시를 하거나 ‘중·일 전쟁 개시’ 등의 구호가 적힌 피켓을 들고 일본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만주사변이 발발한 랴오닝성 선양시에서는 4500여명의 시위대가 반일 시위를 벌였고, 일부는 일본영사관을 향해 벽돌과 돌을 던졌다. 광저우, 원저우 등 다른 도시들에서도 비슷한 반일 시위가 벌어졌다. 중국신문망은 랴오닝, 간쑤, 윈난, 쓰촨, 안후이성 등 전국에서 오전 9시18분에 만주사변을 기념하는 사이렌이 울렸으며, 선양시에 있는 9·18역사박물관 앞 광장에서는 종을 14번 울려 중국 인민의 14년간 항일전쟁을 되새겼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 공안이 폭력 시위대를 잇따라 체포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진 데다 일본 공장, 상가, 음식점, 학교들이 자구책 차원에서 문을 닫으면서 우려한 약탈과 방화 등의 격렬 시위는 소강국면을 보였다. 일본 혼다자동차는 광저우 등지에 있는 5곳의 자동차공장 가동을 18일부터 1~2일씩 중단하기로 했으며, 도요타자동차도 이날 하루 중국 내 일부 공장의 휴업을 결정했다. 캐논은 공장 세 곳의 문을 닫고 2000명의 근로자들에게 이틀간의 유급휴가를 줬다. 주중 일본대사관이 있는 베이징시 차오양구는 구내 800곳의 일본계 기업에 이날 하루 임시 휴업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육상에서의 폭력적 반일 시위는 최대의 고비를 지나고 있지만 해상에서의 긴장은 여전히 높은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 NHK방송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18일 센카쿠 해역의 일본과 중국 접속수역에 이날 하루 중국의 해양감시선 10척과 어업감시선 1척 등 11척이 진입했다. 이날 오후에만 중국 국가해양국 소속의 해양감시선 8척이 센카쿠 접속수역에 들어왔다. 오전에는 센카쿠의 우오쓰리시마 북북서쪽 43㎞ 지점에서 중국의 어업감시선 1척이 포착됐다. 일본 언론들은 해상보안청이 이들 중국 감시선에 일본 영해에 접근하지 말도록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자사 헬기가 우오쓰리시마 북북서쪽 25㎞ 해역에서 중국 어선으로 추정되는 선박 5척을 촬영했다고 전했다. 중국의 반관영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중국 어선들은 휴어기가 끝나고 지난 16일부터 출어할 예정이었으나 태풍의 영향으로 17일부터 본격적으로 집단 출어에 나서기 시작했다. 푸젠, 저장성 등에서 댜오위다오 일대로 출항한 어선은 1000~2000척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 우익분자 2명이 댜오위다오에 상륙한 것은 심각한 도발이라며 일본에 엄중 항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9시쯤 일본인 2명이 센카쿠열도의 무인도 가운데 하나인 우오쓰리시마에 상륙했다.


▲ 만주사변


일본군은 1931년 9월18일 선양(瀋陽) 류타오거우(柳條溝)의 남만주철도 선로를 폭파한 뒤 이를 중국 군벌 장쉐량(張學良) 군대의 소행이라고 뒤집어씌웠다. 이후 일본은 철도 보호를 구실로 군사행동을 개시해 만주 침략을 본격화했다. 중국에서는 이날을 만주사변 개시일로 보며 국치일로 여긴다.



미리 얘기하지만, 본인은 이쪽 관련해서 옆집 편 들어줄 생각은 추호도 없음.

아닌말로, 그간 깽판친 걸 감안하면, 니들이 센카쿠 드립칠 처지가 됨?




[경향신문] '썩을 X,' .이게 뭥미' '겁 대가리' 드라마 저품격 언어들

드라마의 저품격 언어 사용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립국어원이 밝혔다.

국립국어원은 20일 “8월 한 달 동안 방송 6개사의 드라마를 분석한 결과 총 117건의 저품격 방송 언어 사용 사례가 나타났다”면서 특히 “8월에 새로 시작한 <메이퀸>, <판다양과 고슴도치>에서 다른 드라마들보다 비속어가 많이 사용됐다”고 지적했다.

이번 실태 조사 총 117건 중 37건(31.6%)으로 가장 많은 지적을 받은 MBC <메이퀸>은 “야, 이 썩을 년아. 어딜 처자빠졌다가 이제 와?”(2회, 조달순) “너 겁대가리 똥둑간에 두고 왔니”(1회, 학생1) 등 비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MBC 드라마 ‘메이퀸’



속어 표현과 “이 거지 기집애 어디서 데려왔어” 등의 인격 모독 표현이 문제가 됐다.

채널A의 <판다양과 고슴도치>는 “이게 뭥미, 멘붕 상태잖아”(2회, 최원이)에서처럼 은어를 사용하거나 “제일 좋은 고기만 처먹이셨다”(1회, 고깃집 주인)의 비속어 표현이 지적 받았다.

4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리에 종영된 KBS2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서도 “지금 당장 니 머리채를 휘어잡고 니 싸대기를 올리고 싶은 걸 참아내면서”(51회, 엄청애)의 폭력적인 표현이나 “퇴물이 된 가수 매니저 노릇이나 하고, 이게 일이냐 늙은 빠순이 짓이지”(48회, 남남구) 등 인격 모독적인 표현도 지적했다.

이 밖에 ‘해피해진다’(<넝쿨째 굴러온 당신>), ‘트러스트 미’(<판다양 …>), ‘헬퍼’(<다섯손가락>) 등 불피요한 외래어, 외국어 사용도 문제로 지적됐다.

국립국어원 공공언어지원단 조원형 연구사는 스포츠경향과 전화통화에서 “해마다 이 같은 활동을 꾸준히 해왔지만 개선이 되는 것이 없다”며 “특히 공영방송, 또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에서 저품격 언어 사용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국립국어원은 “온 가족이 함께 시청하는 드라마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국민의 정서와 언어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각 방송사는 언어 표현에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드라마를 제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사는 지상파 3사와 종합편성채널 3개사를 대상으로 했으며 TV조선은 8월 방송되는 드라마가 없어 제외됐다.

조사 대상 드라마는 KBS2 <넝쿨째 굴러온 당신>, SBS <신사의 품격> <다섯 손가락>, MBC <메이퀸>, JTBC <아내의 자격> <인수대비>, 채널A <판다양과 고슴도치>, MBN <노크> 등 8편이다.

국립국어원은 각 방송사에 시정권고 공문 발송하고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그럼, 철수야 영희야 국어책읽기로 할까?

난 이쪽 반대함.


그리고, '저품격 대사' 어쩌구 하는데, 막장드라마에 '저품격 대사'가 나오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369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